성리학의 변화
양명학
실학(18C)
1. 중농주의(경세치용학파)
2. 중상주의(이용후생학파·북학파)
국학(역사,지리,언어) - 자주적
과학기술의 발달
문화의 새 경향
성리학의 변화성리학의 교조화 경향 각 붕당의 학문적 경향 남인 경상도 - 위정척사경기도(근기남인) - 서학, 중농학파노론 충청도(호론) - 청 배척, 위정척사서울(낙론) - 중상학파, 개화자강 소론 - 양명학  ...
N수 내용정리 > 국사
Jun 20, 2010.1368Views
근세의 문화
훈구파와 사림파
15세기 자주적 문화와 16세기 문화
조선의 교육기관
사서편찬
성리학
고증학
이황과 이이
숭유억불
민간신앙
훈구파와 사림파 훈구파 (관학파)사림파 (사학파)연 원 급진개혁파 (정도전, 조준, 권근) (정인지, 한명회, 신숙주) 온건 개혁파 (정몽주, 길재, 이색 → 조광조)집권기 15세기 16세기 이후정치적 입장 적극적인 역성 ...
N수 내용정리 > 국사
Jun 19, 2010.1365Views
중세의 문화
고려시대의 구분유학의 학풍 변화교육기관역사서★- 역사서 편찬 방식불교대장경도교와 풍수지리설과학기술의 발달- 역법 [ 암기 ]건축 양식석탑불상청자글씨, 그림과 음악유학의 학풍 변화유학의 발달 고려 문화의 특징 유교 : 치국의 도 불교 : 수신의 본 유·불 함께 발전 고려 초기 유학의 진흥 발달 과정 태조 : 최언위, 최응, 최지몽 등 6두품 계통 유학자의 국정 건의 광종 : 과거 ...